치문 한자 공부 - 33 洪州寶峯禪院選佛堂記 한자 음훈 파일 첨부 되어 있습니다.
洪州寶峰禪院選佛堂記 丞相張商英 撰
崇寧天子가 賜馬祖塔號慈應하시며 諡曰祖印이라하시고 歲度僧一人하야 以奉香火러니 住山老福深이 即祖殿後하야 建天書閣하고 承閣爲堂하야 以選佛로 名之하고 使其徒로 請記於余어늘 余 三辭호대 而請益堅이라 余가 謂之曰古人이 謂選佛而及第者는 涉乎名言爾라하야늘 子以名堂하고 余又記之가 無乃不可乎아 憐子之勤하야 謾爲之記하노라 夫選者는 選擇之謂也니 有去有取하며 有優有劣이라 施之於科擧하며 用之於人才하니 此 先王所以勵世磨鈍之具라 非所以選佛也니라 使佛而可選也인댄 取六根乎아 取六塵乎아 取六識乎아 取三六則一切凡夫가 皆可以作佛이요 去三六則無量佛法을 誰修誰證이리요 取四諦六度와 七覺八正과 九定十無畏와 乃至十八不共法과 三十七助道品乎아 取之則有法也요 去四諦六度로 乃至三十七助道品乎아 去之則無法也니 去取有無가 渺然如絲之留于心中하며 欻然如埃之入乎胷次라 此在修多羅藏하니 或謂之二障이며 或謂之四病이며 或謂之不了義며 或謂之戱論이며 或謂之遍計邪見이며 或謂之微細流注라하니 取之非佛也며 去之非佛也며 不去不取도 亦非佛也니 佛果를 可以選乎아 曰先生之論은 相宗也요 吾祖之論은 禪宗也니 凡與吾選者는 心空而已矣라 弟子가 造堂而有問커든 宗師가 踞座而有答호대 或示之以玄要하며 或示之以料揀하며 或示之以法鏡三昧하며 或示之以道眼因緣하며 或示之以向上一路하며 或示之以末後一句하며 或示之以當頭하며 或示之以平實하며 或揚眉瞬目하며 或擧拂敲床하며 或畫圓相하며 或劃一劃하며 或拍掌하며 或作舞어든 契吾機者는 知其心之空也니 知其心之空則佛果을 可以選矣리다 余 曰世尊이 擧花에 迦葉이 微笑하니 正法眼藏이 如斯而已矣어늘 後世宗師之所指示는 何其紛紛之多乎아 吾恐釋氏之敎가 中衰於此矣일가하노라 深은 河東人也라 甘麁糲하며 耐辛苦하고 久從關西眞淨遊하야 孤硬卓立하니 必能宏其敎리라 盖釋氏之敎는 枯槁以遺其形하며 寂寞以灰其慮라 戒定密行은 鬼神의 所莫窺며 慈悲妙用은 幽顯의 所同仰이라 迫而後에 應則五衆이 喪其伴侶하고 不得已而後에 言則六聚가 亡其畛域이라 生死之變은 人之所畏也나 吾未甞有生이라 安得有死관대 則奚畏之有며 利害之境은 人之所擇也나 吾未甞有利라 安得有害관대 則奚擇之爲리요 夫如是則 不空於外而內自空하고 不空於境而心自空하고 不空於事而理自空하고 不空於相而性自空하고 不空於空而空自空이라 空則等하고 等則大하고 大則圓하고 圓則妙하고 妙則佛이니 嗟呼라 吾 以此望子하노니 子尙無忽哉인저